자 도메인까지 잘 만들었다.
하지만 여기서 이제 어떻게 해야하는가
나는 엄청 긴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다.
구글링을 해보니
파일질라를 통해서 FTP로 내 작업파일을 올려야 한다고 한다.
FileZilla - The free FTP solution
Overview Welcome to the homepage of FileZilla®, the free FTP solution. The FileZilla Client not only supports FTP, but also FTP over TLS (FTPS) and SFTP. It is open source software distributed free of charge under the terms of the GNU General Public Licen
filezilla-project.org
그래서 파일질라를 다운받았고 설치했다.
실행한 후 저 컴퓨터 모양을 클릭해서
FTP 연결을 시켜줘야한다.
이미 난 하나 만들어져 있지만
티스토리에 기록하며 하나 더 만들어보겠다.
호스트 : 내 도메인 주소
사용자 : 닷홈 아이디
비밀번호 : 닷홈 비밀번호
그리고 연결을 눌러주면
FTP를 통해 내 도메인의 서버 컴퓨터에 접속이 가능해진다.
이런 화면인데 표시된 부분이 서버 컴퓨터이다.
저 html 폴더 안에 웹 작업물을 집어넣으면
도메인에 웹페이지가 생성된다.
나는 html-css 보다 백엔드에 더 관심이 가니 일단 아래 사이트에서 적당한 HTML을 받아서 넣어 보겠다.
www.free-css.com/free-css-templates
Download 3123 Free Website Templates - CSS & HTML | Free CSS
www.free-css.com
zip 파일이 받아지는데 압축을 풀어서
서버의 html 폴더 안에 그대로 뒤집어 씌어보았다.
그러면 일단 내 도메인에 새로운 HTML이 적용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막혔다.
내가 Spring에 작업한 것을 이 웹에 옮기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까
구글링해보니
PuTTy를 통해 설정이 필요하다
리눅스 환경에서 뭐뭐 디렉토리 설정을 해줘야 한다
다들 말이 다르고, 방법이 다르다
결국은 자신의 OS, 선택한 도메인 서버 등에 맞추어 설정을 해야하는 것 같다.
생소한 용어들이 나왔다고 공부해야겠다 피하면 끝도 없다.
또 이것저것 다운받고 시도해보는 중이다.
'IT > Web Hos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3_3 AWS(Amazon Web Service)로 스프링 웹 호스팅하기(Ubuntu 서버에 자바 설치) (0) | 2020.11.21 |
---|---|
3_2 AWS(Amazon Web Service)로 스프링 웹 호스팅하기(PuTTY 설정) (0) | 2020.11.21 |
3_1 AWS(Amazon Web Service)로 스프링 웹 호스팅하기 (0) | 2020.11.21 |
2. 닷홈(DotHome)에서 무료 도메인 받기 (0) | 2020.11.21 |
1. 웹 호스팅 하기,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위한 웹 페이지 만들기 (0) | 2020.11.21 |